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알아보세요. 2025년 7월부터 시작된 민생회복 지원금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국민들의 생활 안정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특별 지원제도입니다. 1인당 최대 55만원까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지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목차 ]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알아보기
https://www.mois.go.kr/frt/sub/a06/b07/livelihoodCoupon_2/screen.do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가능 업종
- 전통시장, 동네마트
- 식당
- 의류점
- 미용실
- 안경점
- 약국, 의원
- 학원, 교습소
- 프랜차이즈 가맹점 (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서브웨이, KFC, 배스킨라빈스,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커피, 컴포즈커피, 빽다방, 공차, BBQ, 교촌치킨, BHC, 도미노피자, 피자헛, 노모어피자, 한솥, 본죽, 김밥천국,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맘스터치 등
※ ‘면’ 지역은 유사업종이 없을 경우,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불가 업종
- 대형마트
-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에브리데이, 노브랜드, 롯데슈퍼, 마켓999, 농협 하나로마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GS 슈퍼마켓, 메가마트, 킴스클럽 등
- 백화점
- 면세점
- 대형 외국계 매장: 샤넬, 애플, 이케아 등
-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 프랜차이즈 직영점
- 온라인 쇼핑
- 배달앱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사용하여 대면 결제하는 경우는 사용 가능)
- 유흥 및 사행업종: 유흥주점, 카지노, 복권방 등
- 환금성 업종: 상품권, 귀금속 판매점 등
- 세금 및 공공요금 자동이체: 조세·공공요금, 교통·통신요금 등
- 보험 업종: 생명보험, 손해보험,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지원금 형태별 사용처와 제한사항
민생회복 지원금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됩니다. 첫 번째는 지역사랑상품권이고, 두 번째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입니다. 지역사랑상품권의 경우 각 지자체별로 지정된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별로 사용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카드 형태로 받은 지원금은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의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사용 가능한 업종을 살펴보면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의류점, 미용실, 안경점, 교습소나 학원, 약국이나 의원, 그리고 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의 프랜차이즈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하나로마트의 경우에는 유사업종이 없는 면 지역에 위치한 하나로마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습니다. 매장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스티커를 확인하면 사용 가능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사용할 수 없는 곳도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백화점, 면세점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와 샤르르, 애경, 이케아 등의 대형 외국계 매장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하이마트, 전자랜드 같은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이나 프랜차이즈 직영점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앱을 통한 결제도 원칙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배달앱으로 주문하더라도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사용해 대면으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기한과 지역 제한사항
민생회복 지원금의 사용 기한은 1차분과 2차분 모두 2025년 11월 30일까지입니다. 이 날짜를 넘기면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환불되지 않고 자동으로 소멸되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 지역은 신청자 본인의 주소지로 제한되는데, 특별시나 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해당 특별시나 광역시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도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세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나 군 단위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사용 기간 중 이사를 하고 전입신고를 완료한 경우에는 사용 지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지원금을 받은 경우에만 해당하므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받은 경우에는 지역 변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사 계획이 있는 분들은 지원금 신청 시 이 점을 고려해서 카드 형태로 신청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 확인 방법과 공식 사이트 안내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여러 공식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공식 홈페이지(www.mois.go.kr)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24(plus.gov.kr)에서도 관련 정보와 신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은 ‘지역상품권 chak’ 앱이나 행정안전부 내고장알리미 홈페이지(www.lai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도 해당 지역의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자체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카드사별로도 전용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KB국민카드와 삼성카드 등 주요 카드사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가맹점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네이버페이에서도 관련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식 사이트들을 통해 사용 가능한 가맹점을 미리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지원금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민생회복 지원금은 국민 모두의 생활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중한 정책입니다. 사용처와 제한사항을 정확히 파악하여 2025년 11월 30일 기한 내에 모든 지원금을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다른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