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실시간 cctv 영상보기 (PC, 모바일) 서비스 안내입니다. 국립공원 실시간 CCTV는 국립공원 탐방 전 실시간 영상으로 현재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날씨나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 목차 ]
국립공원 실시간 cctv 영상보기
https://m.knps.or.kr/main/menuctrl.do?menuNo=10
국립공원 실시간 영상 홈페이지
국립공원공단(Korea National Park Service) 모바일 웹의 “안전한 탐방 > 기상정보 > 실시간 영상” 메뉴입니다.
기능 및 콘텐츠
전국 주요 국립공원의 실시간 영상(웹캠) 목록을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각 지역별 웹캠으로 바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최적화된 운영
모바일 화면에서도 접근성이 좋도록 단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어, 원하는 공원의 실시간 영상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상·통신 상황에 따라 영상 일시 중지 가능
페이지 상단에는 “현장의 기상 및 통신상황에 따라 영상이 일시 중지될 수 있습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시간 CCTV 영상 제공 지역
아래는 각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한 국립공원 실시간 영상 목록입니다.
- 계룡산국립공원 (천황봉)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리청송해변)
- 덕유산국립공원 (설천봉)
- 무등산국립공원 (장불재)
- 변산반도국립공원 (죽막탐방로)
- 북한산국립공원 (백운대)
- 북한산국립공원 (사패산)
- 설악산국립공원 (울산바위)
- 소백산국립공원 (연화봉)
- 오대산국립공원 (두로령)
- 지리산국립공원 (장터목)
-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
- 주왕산국립공원 (기암)
- 태백산국립공원 (천제단)
-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 치악산국립공원 (상원사)
- 한려해상국립공원 (각산)
모바일에서 실시간 국립공원 영상 접근이 가능하고, 전국 주요 국립공원 17곳 (목록 상단 참조), 영상은 기상·통신 상황에 따라 일시 중지 가능, 모바일 웹에 최적화된 리스트 UI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국립공원공단 소개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은 1968년부터 1987년 7월까지 20년간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해 왔습니다. 그러나 공원관리를 시·도 또는 시·군·구에 일임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관리가 부실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17개 공원을 42개 기관이 분할관리하거나 하부기관에 위임관리시킴으로서 관리체제가 다원화되어 관리기능이 크게 미약하고 일관성있는 정책집행이 곤란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관리문제가 발생되었습니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1986년 국가직접관리방침을 정하고 전문관리기관으로 1987년 국립공원공단을 설립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
[다른글]